건축정보/建築

방음재 패브릭흡음재 용인 사무실 방음공사

즐락지기 2017. 7. 21. 18:31

방음재 패브릭흡음재 용인 사무실 방음공사


최근 방음문제는 전문적인 음악을 위한 공간만의 문제가 아닌 우리 주변 실생할에서의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데요. 방음공사 또한 음악실이나 강당 그리고 아파트 피아노방에서의 문제가 아닌

사무실이나 가정집 그리고 카페, 공장, 노래방등의 영업시설에서도 주로 이루어집니다.

오늘 소개해 드리는 방음공사 현장도 상가내 인접 사무실의 방음을 위한 방음공사 현장인데요.

다행히 천정속의 공간은 칸막이 벽체로 막혀 있는 상태여서 기존 경량 석고보드 벽체의 방음과

상담 및 회의실로 운영되는 공간만 패브릭흡음재로 흡음공사를 시공한 사례입니다.


일반적으로 사무실 방음건으로 많은 문의를 주시는데 사무실 방음의 경우 경량칸막이 벽체와

천정속의 빈공간 때문에 옆 사무실등의 소음 간섭이 심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기존 벽체의 방음공사도 중요하지만 천정속의 공간도 꼭 방음공사를 해 주어야 합니다.

방음공사는 차음공사와 흡음공사의 두가지 공사가 병행되어야 하는 경우가 많구요.

차음공사를 통한 경량벽체의 밀도를 높여 고체전달음을 막아주어야 하고 또 흡음공사

하여 공기전송음도 감쇄를 시켜 주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방음재 또한 차음재와 흡음재로 구분을 하는데 차음재는 말 그대로 소리를 막아주는 역할을 하고

흡음재는 소리를 흡음시켜 주는 역할을 하며 이 두가지를 통칭하여 방음재 또는 방음자재 라고 합니다.


우리가 많이 사용하는 방음재중 흡음재는 폴리에스터 흡음재를 주로 사용하는데 폴리에스터 흡음재는

환경친화적인 소재로 내부로 연결된 기공을 통하여 탁월한 흡음성능과 단열성능을 가진 소재입니다.

이러한 폴리에스터 흡음재는 방음벽체 구성시 마감재 사이에 삽임하여 방음시공을 하기도 하고

폴리에스터 위에 방염패브릭이나 준불연패브릭 그리고 그라스트로스등을 접합하여

흡음마감재인 방염패브릭흡음재, 준불연패브릭흡음재 그리고 그라스크로스흡음재등의 방음재를 만듭니다.


보다 더 자세한 방음재와 방음공사 시공사례 그리고 위에서 말씀드린 폴리에스터 흡음재의 적용 도면등은

지금 보고 계시는 저희 블로그나 저희 홈페이지에서 자세하게 보실 수 있구요.

아래 방음공사 시공사례 사진 밑의 배너를 클릭하시면 저희 홈페이지로 쉽게 오실 수 있습니다.


저희 SW신우건설은 방음재 판매 및 방음공사 전문업체로 방음관련 궁금하신 사항은 언제든 전화주시면

상세하게 상담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방음재를 이용한 방음공사 시공전의 현장 모습입니다.



방염패브릭 흡음재를 이용한 방음공사 현장입니다.

 


패브릭흡음재는 소음 간섭의 방음뿐 아니라 공간 자제내의 울림소리를 탁월하게 줄여줍니다.

패브릭흡음재는 강당이나 음악실의 공간뿐 아니라 회의실, 카페, 식당등의 공간에 적용하시면

매장내의 울림소리 및 소음을 탁월하게 잡아줍니다.

 

방음공사 완료후의 모습입니다.


방염패브릭흡음재의 칼라 패턴입니다.

보시는 칼라 외에도  다양한 칼라가 있습니다.


다중이용시설 등에 사용되는 준불연패브릭흡음재의 칼라 패턴입니다.

본 게시물 외에도 더 다양한 준불연 패브릭 칼라가 있습니다.


패브릭흡음재 입니다.


흔히들 많이 사용하시는 방음재중 일명 계란판 흡음재 입니다.



방음재중 바닥방음에 사용하는 방진재인 방진고무 입니다.

주로 진동음이 심한 산업시설과 볼링장 바닥등에 사용됩니다.



방음재중 차음재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차음시트입니다.

여러가지의 두께로 생산이 되고 뒷면에 점착 처리가 되어 있어 이형지를 벗기고 접착하시면 됩니다.


방음재중 흡음재인 폴리에스터 흡음재 입니다.

폴리에스터 흡음재는 경량칸막이등의 빈 공간에 삽입하여 방음벽체 구성시 사용되며

흡음성능과 더불어 단열의 효과도 탁월합니다.


  

방음재중 기계실, 공장등의 산업시설에 사용하는 그라스크로스흡음재 입니다.

소음, 진동등이 심한 벽체 및 천정등에 시공을 합니다.


  

방음재중 층간슬라브 방음등에 사용되는 고무발포 방음재 입니다.

고무발포보온재는 건축설비등에 주로 사용되며 난연1급의 건축자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