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네 이야기/이런저런

[스크랩] 삶으로 가르치는 것만 남는다.

즐락지기 2011. 6. 28. 15:10

 

 

 

 

 

          

        아버지와 같은 마음으로 아이를 가르친다는 것은 

              통제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사랑하기 위해서

           그  아이에 대해서 알려고 노력하는 것이다.

 

 

 

                                             참 배움은 강요되는 것이 아니라, 삶에서 얻는 것이다.

                                                      우리는 무엇이든 삶으로 가르쳐야 한다.

 

 

                                             흔히들 일반 학생이 장애 학생을 도와준다고 생각한다.

                                                     천만의 말씀이다.

                                                오히려 장애 학생이 일반 학생의 성숙을 돕고 있다.

                                                        장애 학생은 어떤 훈계도 없이 존재 자체로 아이들을 돕는다.

 

 

                                           책도 여백이 있어야 만들어지고 읽혀지듯이

                                                  우리의 삶에서도 안식이 뿌리를 잘 내려야 열매를 맺는다.

                                            열매가 열리기 전까지는 우리는 내내 기다려야 한다.

                                                      하나님이 하시는 것을 바라보는 여유를 배워야 한다.

                                                                 그때 열매가 맺히는 것이다.

 

 

                                          부모는 자격증이 없다.

                                             근무 시간이 정해져 있는 것도 아니다.

                                         밤샘 근무를 했다고 해서

                                                 보너스가 지급되는 것도아니다.

                                        부모는 끊을 수 없는 소명이다.

                                                 아무리 원해도 부모가 되지 못하는 사람도 많다.

                                             자녀는 하나님의 특별한 선물이다.

                                                    부모는 하나님의 부르심이다.

 

 

                                                          아기가 내 몸 안에, 우리 집 안에 들어온 이유는

                                                                떠나기 위해서이다.

                                                          아이가 들어서는 순간 기도해야 한다.

                                                                   아이들이 잘 떠나가게 해 달라고...

 

 

                                                           인생은 아픔이다.

                                             인생은 순탄하지 않다는 것을 알면서도

                                                           우리는 늘 인생은 편해야 한다고 착각 속에서 살아간다.

                                             그래서 아이들의 인생에 아픔이 오면 언제나 놀란다.

                                                           자녀가 아픔을 겪지 않도록 해 준다고 해서

                                               아이가 부모에게 존경과 감사를 느끼는 것은 아니다.

                                                           아픔을 겪고 나면 참 기쁨이 있다.

                                                 성숙이 있다.

                                                           부모는 그 기쁨과 환희의 시간을 위해서

                                                   사랑하는 자녀에게 아픔을 허락하는 것이다.

 

 

                                                  아무리 가르침을 받았다고 해도

                                                           가르치는 일이란 쉽지 않다.

                                                   나는 무엇을 말로 설명하는 것보다

                                                           칠판에 적어 주는 것보다 삶을 고스란히 보여 주는 것이야말로

                                                   아이들의 영혼에 깊은 인상을 남긴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본문 중에서-

 

 

 

                                                             

 

요즘 책이 잘 읽히지 않아 가볍게 읽을수 있겠다 싶어 손에 든 그림에세이집.

그러나 한장 한장 읽어 갈수록 나에게 많은 물음과 결단을 요구하는 책이 되어 버렸다.

 

두 아이를 키워 가면서 너무도 당연하게 강요하고 요구하던 것들이 얼마나 나 중심적이며

세상의 가치를 쫓아가는 것이였는지...

말로 만이 아닌 삶으로 가르쳐야 한다는 평범한 진리를 다시한번 기억하게 했다.

 

책에서 말하듯 부모에게는 자격증이 없다.

부모라는 것을 가르쳐 주는 학교도 없다.

그래서 처음 부모가 된 우리는 실수도 하고 불안해 하기도 한다.

그러나 포기 할수 없다.

자녀는 하늘로 부터 온 선물이며 부모는 우리의 소명이기에.....

 

나는 오늘도 서툴고 불안하지만 부모라는 이름으로 한발한발 내딛는다.

 

 

출처 : 생명나무 그늘아래...
글쓴이 : 우유거품 원글보기
메모 :